웨딩플래너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반응형

 


 일생에 단 한번 뿐인 결혼식을 얼마나 멋지게, 즐겁게 준비하느냐는 결혼을 준비 하는 예비부부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과거와는 달리 결혼준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없는 맞벌이 예비부부의 증가로 결혼준비 문화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렇듯 일하는 여성이 늘어나면서 결혼 전 준비에서부터 신혼여행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기획하고 대행해 주는 웨딩플래너를 많이 찾고 있습니다. 


이들은 결혼 예정자와 상담을 통해 결혼 스케줄, 예산, 개인성향 등의 고객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정보를 기획합니다. 결혼 예정자의 결혼 스케줄을 관리하고, 결혼 소요비용을 편성 및 기획합니다. 이에 따라 예식장소 선정, 웨딩드레스∙부케 및 야외촬영 상담 및 예약, 혼수∙가구∙예물에 대한 경제적인 정보 제공, 신혼여행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자문 역할 등으로 결혼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정보 및 상품자료를 안내하고, 선택사항을 돕습니다. 즉, 결혼준비 과정에 있어서 실질적인 조언자로서 실무적, 정서적 지원을 통해 결혼준비를 돕는 일을 합니다. 


고객이 선택한 웨딩관련 업체에 대해 계약 및 발주를 대행하며, 고객에게 각종 서류 및 계약서를 설명하고 서류를 전달하는 것도 웨딩플래너의 몫입니다. 이때 진행상황이나 준비물을 통보하고, 고객과 업체와의 관련 업무를 중간에서 담당하게 되죠. 야외촬영, 예식당일 등의 현장 준비사항을 점검하고, 유사시 발 빠르게 조치를 취하기도 합니다. 뿐만 아니라 결혼에 관한 여러 가지 상담, 신부의 도우미 역할, 혼수품을 구입하기 위해 직접 해당 업체에 동행하기도 하는 등 결혼과 관련된 모든 일을 처리하게 됩니다. 

 

보통 웨딩플래너로 일하기 위해서는 웨딩이벤트 회사에 취업하며, 최근에는 프리랜서로도 많이 일하고 있습니다. 이런 회사들의 응시자격으로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으로 전공에는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미혼∙기혼은 상관없으나, 대부분 20대 후반~30대의 여성이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행에 민감하며, 신부와의 정서적 공감대가 중요하며, 고객과 함께 관련 업체를 방문함에 있어서 부지런함과 기동성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대부분 주말에 예식이 이루어지므로 웨딩플래너의 주말근무는 당연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평소에도 업체방문 등으로 외근이 잦아 신체가 건강한게 우선입니다. 경력자의 경우 관련 경험이 있으면 유리하며, 특히 신랑∙신부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태도, 그리고 결혼과정을 조리 있게 설명하고 납득시킬 수 있는 화술과 고객의 결혼을 자신의 결혼처럼 챙겨 줄 수 있는 서비스 정신이 필요합니다. 


웨딩플래너 관련 교육은 이벤트관련 학과에서 받을 수 있으며, 최근 사설학원도 많이 개설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나 회사에 취업하여 직접 부딪치며 일을 배우는 것이 더 빠를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결혼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있을수록 유리하며, 고객의 결혼에 대한 전 과정을 관리해야 하므로 집념과 끈기가 있어야 합니다.

 

친정어머니를 필두로 온 가족이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과거의 결혼준비와는 달리 최근 인터넷을 통한 정보획득과 맞벌이 예비부부의 증가로 웨딩컨설팅을 의뢰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웨딩산업 또한 양적으로 성장해 있으나 불필요한 비용이 많아 질적 수준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결혼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신랑∙신부들이 준비를 위해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있었으나 최근 들어 웨딩플래너와 같은 결혼전문가에게 의뢰하여 편하고 경제적인 결혼을 준비하는 경향이 늘고 있습니다. 


웨딩매니저, 결혼관리사, 웨딩PD, 웨딩코디네이터, 웨딩컨설턴트, 웨딩설계전문가 등 다양한 직업명으로 불리고 있는 이들은 결혼준비에 있어서 신부 측의 준비 사항이 많고, 섬세함이나 유행 감각, 발 빠른 기동력 등으로 젊은 여성종사자들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사회초년생, 웨딩 관련 일 (웨딩홀 , 드레스샵 등) 및 서비스 관련의 경력 여성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보수는 소속된 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결혼식 완료 기준으로(업계 용어: 완료 베이스) 급여가 정산되는 방식이라 6~7개월 정도의 수습 기간이 있고 이후 능력 여하에 따라 평균 3,000~3,600만 원 정도를 받습니다.

 

[출처: 워크넷]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